바로가기 및 건너뛰기
본문 바로가기
주메뉴 바로가기
서브메뉴 바로가기

사업소개

사업내용

사업개요
 개별 구축된 디지털 트윈 간 연합 및 상호 운용을 위한 핵심기술 개발을 통해 현실의 복잡 다양한 이슈 대응과 문제 해결
* 연합기술의 확보로 복합상황에 효율적으로 대응 가능하며, 디지털 트윈 중복개발 방지 및 신규 트윈 구축 시 활용도 제고
 
2025년 중점 추진방향
 (기술 개발) 이종 트윈 간 상호운용·연합을 위해 연합객체 구성 및 동기화, 모델링 및 모델해석, 머신러닝 학습, 시각화기술 등 개발
* 데이터 동기화 엔진, AI기반 예측매니저, 시뮬레이션 해석기 및 시각화 엔진 등 프레임워크를 구성하는 단위모듈 기능 완성도 제고
 (서비스 검증) 단위 모듈 통합, 프레임워크의 기능·성능 검증을 위한 실환경 테스트베드 구축, 제2차 PoC (Proof of Concept) 준비
* 제2차 PoC(‘26) 서비스 유형 및 연합기술 오픈소스 v2.0 공개(’26) 준비 등
 (생태계 활성화) 연합기술 표준 개발*로 오픈 인터페이스 확보, 연구자 포럼** 기술교류회 등 운영으로 디지털 트윈 연구 생태계 활성화
* 연합트윈 요구사항, 참조모델, 메타데이터 체계, 인터페이스 등 국내 단체표준(TTA표준) 채택 지속적 추진
** 디지털 트윈 연구자 포럼(DTRF; Digital Twin Researcher Forum) 활성화
 

사업규모

(단위 : 백만원)
구분 ’24년 예산 ’25년 예산 비고
세부사업 내역사업
디지털트윈연합핵심기술개발 디지털트윈연합핵심기술개발 4,040 3,400 -
합계 4,040 3,400
 
 

문의처

  • 기술혁신본부 AI·디지털융합단 디지털융합팀(T.042-612-8554, 8560)

목록